삶은 기적이다
냉소와 악의가 음습한 안개처럼 우리 주위를 확고하게 감싼다. 끝없이 터져 나오는 기괴한 사건들, 부끄러움을 모르는 우쭐거림, 거친 표정과 혐오의 말들, 여백이 없는 단정적인 언사들, 공공장소에서 다른 이의 존재는 아랑곳하지 않는 무례한 태도.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이런 일들로 인해 마치 구정물 뒤집어 쓴 것 같은 느낌이다. 불쾌함이 켜켜이 쌓여 우울의 지층을 이룬다. 이곳저곳 왈큰왈큰 피어나는 꽃들 앞에 서면 그 아름다움에 황홀해지다가도 사람으로 사는 게 부끄럽다는 생각이 떠오른다. 생명이 기적임을 보여주는 징표가 도처에서 나타나는 데 사람들은 가르고 나누느라 온 힘을 다 한다.
“단지 아주 나쁜 번호를 뽑았을 뿐 나는 장애자가 아니다. 나는 돌연변이일 뿐이다.” 이 말은 세계적인 잡지 ‘엘르’의 편집장이었던 장 도미니크 보비의 말이다. 그는 저명한 저널리스트였고, 자상한 아버지였다. 멋진 생활을 사랑하고 좋은 말을 골라 쓰는 유머러스한 남자였고, 앞서가는 정신의 소유자였다. 누구보다도 자유롭게 살아가던 그는 1995년 12월 8일에 갑작스런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인생의 절정기에 찾아온 최후통첩같은 사건이었다. 3주 후 의식을 회복했지만, 그가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오직 왼쪽 눈꺼풀뿐이었다. 갓난아이처럼 퇴행한 자기 몸이 더할 나위 없이 비극적으로 느껴져 눈물을 흘릴 때도 있었고, 겨우 50센티미터밖에 안 되는 거리에 얌전히 앉아 있는 아들 테오필을 안아줄 수도 없었다. 그 끔찍한 현실 때문에 감정을 주체할 수 없어 온몸에 경련이 일 때도 있었다. 절망적인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는 포기할 수 없었다. 사랑스러운 두 아들이 용기를 잃지 않도록 돌볼 책임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운명에 굴복하기를 거부한 순간 그는 자기에게 남아 있는 가능성에 주목했다. 다행히 정신은 또렷했고 자기를 성찰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내적 능력이 있었다. 그래서 그는 책을 쓰기로 작정했다. 훗날 두 아들이 아버지를 운명의 타격 앞에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았던 사람으로 기억해주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그가 유일한 의사소통 수단인 왼쪽 눈꺼풀을 깜박거리면 비서가 그것을 보고 알파벳을 한 자씩 적어 나갔다. 눈을 한번 깜빡이면 a, 두 번 깜박이면 b라는 식의 약속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장 도미니크 보비가 15개월 동안 20만 번 이상 눈을 깜박거려 쓴 책의 제목은 ‘잠수복과 나비’이다. 그는 자기의 짧은 인생을 풍자와 유머로서 진솔하게 묘사한다. ‘잠수복’은 전신이 마비된 그의 상황을 가리키고, ‘나비’는 세상 어디든 날아가고픈 그의 정신을 상징한다. 전혀 이질적인 두 은유가 한 존재 안에 공존하고 있다.
반복되는 일상을 기쁨으로 향유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세상에 숨겨진 빛의 순간을 포착하는 데 익숙한 시인들은 일상이 기적임을 노래하지만, 무심하게 시간 속을 걸어가는 이들에게 일상은 벗어나고픈 굴레이다. 일상의 소중함은 상실과 박탈의 경험 속에서 드러난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하다. ‘잠수복’에 갇힌 장 도미니크 보비의 말이 멀리서 들리는 종소리처럼 울려온다. “지금 현재로서는 끊임없이 입 속에 과다하게 고이다 못해 입 밖으로 흘러내리는 침을 정상적으로 삼킬 수만 있다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된 기분일 것 같다.” “정상적으로 호흡하는 것만큼이나 가슴 뭉클하게 감동하고 사랑하고 찬미하고 싶은 마음이 솟구친다.”
이 광활한 우주 가운데 우리가 없지 않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기적이다. 타인과 자기를 비교하며 우쭐거리거나 주눅이 들지 말아야 한다. 이미 주어진 것을 한껏 향유하는 능력을 발휘하지 못할 때 인생이 무거워진다. 그 결과 행복은 유보되고 감사와 기쁨은 모래 속으로 스며드는 물처럼 잦아든다. 불평과 원망과 투덜거림이 그 빈 자리를 채운다. 경탄을 잃어버릴 때 세상은 시장이 된다. 이익과 손해에 대한 발밭은 셈에 집착하는 순간 이웃은 함께 살아야 할 소중한 존재가 아니라 이용해야 할 대상이 된다. 봄은 잠시라도 이해관계라는 틀에서 벗어나 세상 도처에 널린 기적을 보라고 우리를 부른다.
(* 2023/03/15일자 국민일보 '김기석의 빛 속으로' 원고입니다) |